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소화기질환 > 소화불량

소화불량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합병증
예방
tag

소화불량?

소화불량은 소화 장애 증상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주로 상복부 중앙에 소화 장애 증세가 나타납니다. 소화불량은 한 가지 증상만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소화기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포함합니다. 주로 속쓰림, 트림, 구역질, 상복부 불쾌감, 위장의 팽만감 등과 같은 소화기 증세와 더불어 복통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tag

소화불량 원인

소화불량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소화기 질환, 심장 질환, 전신적인 질환, 정신적인 질환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사 습관이 불규칙하거나 급하게 식사하는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음식물이 충분한 소화 효소의 작용을 거치지 않아서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과다한 흡연, 커피·술의 과다 섭취, 특정 음식에 대한 과민성이 소화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tag

소화불량 증상

소화불량은 음식을 섭취한 후 소화가 안 되는 증상을 비롯하여 식후 포만감, 식욕 부진, 복부 팽만감, 조기 포만감, 트림, 상복부 불쾌감 또는 통증, 속쓰림, 오심(메스꺼움), 구토, 위산 역류, 가슴앓이 등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대개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합니다.
tag

소화불량 치료•약물

소화불량은 위 투시, 위내시경 검사,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검사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로 소화성 궤양, 역류성 식도염, 위암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검사로 세균 감염 유무도 검사할 수 있습니다. 복부 초음파 검사는 간, 췌장, 담낭 등 내부 장기의 질환이 의심되면 시행하고, 필요하다면 CT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tag

소화불량 치료•약물

경과 소화불량은 사람에 따라 증상과 증상의 정도가 다릅니다. 질환을 모르고 지나치게 되기도 하고, 큰 병으로 진행될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 불량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정확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tag

소화불량 합병증

소화불량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골다공증, 신경계 장애, 의궤양 및 암(림프종 등)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tag

소화불량 예방

소화불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식을 삼가하고 천천히 잘 씹어서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자리에 들기 2-3시간 전에는 되도록 음식 섭취를 피하도록 하며 자극적인 음식과 커피, 탄산음료 등은 위의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식하지 않고 소식하는 습관은 위장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규칙적인 생활과 적당한 운동을 하도록 하고 충분한 휴식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합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