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소아청소년질환 > 변비

변비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합병증
예방
tag

변비?

변비는 의학적으로 배변 횟수가 적거나 배변이 힘든 경우, 배변이 3~4일에 한 번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겪을만큼 흔하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빈도가 증가합니다.
tag

변비 원인

변비는 대체로 기질적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이차성 원인과 원발성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차성 원인에는 기질적 국소성 질환, 전신적 질환, 약제 사용 등이 있으며, 이차성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대장 운동과 항문직장의 기능 이상을 원발성 원인이라고 합니다. 변비의 90%는 원발성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변비를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으며, 파킨슨병, 다발 경화증 등의 신경 질환, 정신 질환도 포함됩니다. 또한, 마약성 진통제, 항콜린제, 제산제 등의 약물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tag

변비 증상

의학적으로는 배변의 횟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데 환자들의 경우에는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단단한 변, 배출 장애, 배변 횟수 감소, 화장실에 머무는 시간이 긴 경우 등의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tag

변비 치료•약물

원인에 따라 받는 검사에 차이가 있습니다. 변비의 기질적인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혈액 검사, 내시경 검사, 영상학적 검사 등을 하게 됩니다. 기질적 질환이나 이차적인 원인에 의한 변비가 아닌 경우에는 대장항문 기능 검사를 통해 변비의 형태를 평가하게 됩니다. 대장항문 기능 검사에는 대장 통과시간 측정, 직장항문내압검사, 풍선배출검사, 배변조영술 등이 있습니다.
tag

변비 치료•약물

치료 환자 개인별로 치료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고섬유소 식사요법, 행동요법, 약물요법 등을 병용합니다.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기질적 원인과 이차적 원인이 제거되면 생활 양식의 변화와 식이섬유 섭취 등의 비약물적 치료를 먼저 시도합니다. 이후에도 변비가 호전되지 않는다면 약물치료를 실시하게 됩니다. 변비 치료 약물에는 부피형성 하제, 대변 연화제, 삼투성 하제, 자극성 하제 등이 있으며, 이러한 약물들은 대변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tag

변비 합병증

변이 점차 딱딱해져 배출되기 어려워지면, 게실 질환, 항문의 치핵, 치열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아 변비의 경우 합병증으로 요로 감염, 치질, 대장염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tag

변비 예방

충분한 수분과 식이섬유 섭취가 도움이 되며, 식사 후 규칙적으로 배변을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하고 규칙적인 운동은 신진대사 및 장운동을 촉진시켜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