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소아청소년질환 > 땀띠

땀띠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예방
tag

땀띠?

한진이라고도 부르며,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된 땀이나 자극으로 인해 피부에 붉은색의 작은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막힌 땀관의 위치에 따라 수정 땀띠, 적색 땀띠, 깊은 땀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tag

땀띠 원인

땀이 발생하는 이유는 체온조절을 위함인데요. 땀샘에서 만들어진 땀은 땀관을 통해 배출되어 피부 표면으로 분비가 됩니다. 이 때 통로 역할의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막히게 되면 땀샘에 염증이 생깁니다. 그 요인으로는 습열, 자외선, 반창고 등에 의한 자극이나 과한 비누의 사용, 세균감염 등의 외부 요인이 있으며, 많은 양의 땀이나 피지 생성 감소 등의 내부 요인이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땀샘의 밀도가 높으며 같은 표면적당 발한량이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땀띠가 더 잘 생긴다고 합니다.
tag

땀띠 증상

주로 얼굴, 목, 가슴, 겨드랑이 등의 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울 모양의 투명한 물집이 생기는 것이 주요 증상입니다. 가렵거나 따끔거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tag

땀띠 치료•약물

피부 병변의 양상 및 분포를 관찰하고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나, 전형적인 땀띠가 아닌 경우에는 피부 조직검사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tag

땀띠 치료•약물

치료 기본적인 치료의 방법은 환자를 시원하게 하는 것입니다. 목욕을 하여 땀이나 때를 깨끗이 씻어내고 시원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팅크유(아연화오레프유)를 얇게 바르고, 석탄산아연화리니멘트를 바르거나 아연화녹말을 뿌리기도 합니다. 그래도 낫지 않을 때나 가려움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피부과 전문의와의 상담 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를 첨가한 피부크림을 발라 습진으로 이행하지 않도록 하며, 항생제가 땀띠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고 합니다. 경과 땀띠는 보통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고 치유됩니다. 하지만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땀띠가 난 부위를 긁게 되면 2차적인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tag

땀띠 예방

땀띠가 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원하고 통풍이 잘 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에어컨 및 선풍기를 이용하여 땀이 잘 나지 않거나 땀이 쉽게 증발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또한 땀을 흘린 즉시 씻어주는 것도 예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목욕이나 샤워를 통해 땀이나 더러운 때를 씻어내야 하는데, 이 때 비누를 과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땀띠가 생기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옷을 완전히 벗는 것보다 면과 같은 흡수성 직물의 옷을 한 겹 정도 입는 것을 권장합니다. 아기의 경우 땀띠가 나기 쉬운 부위에 파우더를 살짝 발라주기도 하는데, 너무 많이 바르면 오히려 땀관 구멍을 막아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여름철에 아기의 땀을 닦기 위해 목에 수건을 두르는 경우 오히려 땀띠를 만들어 내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팔의 접히는 부분이나 무릎 뒤처럼 피부가 접혀 땀띠가 나기 쉬운 부위에 땀띠 파우더를 바르게 되면 세균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위 또한 잘 고려해야 합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