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눈질환 > 결막염

결막염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합병증
예방
tag

결막염?

결막염은 결막에 염증 또는 감염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결막이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을 의미합니다.
tag

결막염 원인

결막염은 원인에 따라 세균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클라미디아 결막염 등으로 나뉩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구균 등에 의해 발병되며,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꽃가루, 점안액, 콘텍트 렌즈 등의 알레르기원이나 화학물질 등에 노출되어 발생합니다.
tag

결막염 증상

결막염의 종류에 따라 구체적인 증상은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약 1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가려움, 눈물,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안구 통증, 이물감, 눈곱, 부종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세균성 결막염: 보통 한 쪽 눈에서 발생하여 다른 눈으로 전염되며, 이물감, 눈물, 충혈, 점액성 고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바이러스성 결막염: 눈물, 이물감, 충혈, 약한 눈부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가려움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충혈, 눈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눈이 부을 수 있습니다. - 클라미디아 결막염: 이물감, 충혈, 점액화농성 이물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tag

결막염 치료•약물

결막염은 문진, 세극등현미경 검사, 각막 풀루레신 염색, 배양 검사 등을 시행하여 검사를 진행합니다. 세극등현미경 검사를 통해 눈의 충혈 정도, 분비물의 양상, 결막 및 출혈 여부, 여포 생성 및 가성막 생성 여부, 각막염의 합병 여부 등을 살핍니다. 각막 풀루레신 염색을 통해 각막 상피 찰과상, 궤양, 수지상 각막 질환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염증이 심하거나 경험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결막염은 원인균 배양을 통해 균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tag

결막염 치료•약물

치료 결막염은 종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세균성 결막염과 클라미디아 결막염은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며,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항히스타민제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세균의 이차감염을 막기 위하여 국소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하면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를 국소 적용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
tag

결막염 합병증

결막염은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합병증 없이 회복되지만 예방적 조치를 따르지 않을 경우 재발할 수 있으며, 아주 드물게 각막 혼탁, 안구건조증, 각막 궤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tag

결막염 예방

결막염 예방을 위해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눈에 손을 대지 않고, 손을 자주 씻어야합니다. 눈에 사용하는 화장품이나 렌즈를 공유하지 않아야 하며, 콘텍트 렌즈를 청결하게 관리해야합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