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감염성질환 > 수두

수두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합병증
예방
tag

수두?

수두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전신의 피부·점막 등에 작은 수포(물집)가 생기는 전염병입니다. 잠복기간은 보통 2~3주, 13~17일 정도이며, 직접 접촉 혹은 비말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발생 초기일수록 수포의 전염성이 강하며 딱지가 생긴 뒤에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tag

수두 원인

헤르페스 바이러스과(Herpesviridae), 알파헤르페스 바이러스아과(Alphaherpesviridae)에 속하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 HHV-3)가 수두의 원인이 됩니다.
tag

수두 증상

무증상 감염은 거의 없으며, 2~3주 정도의 잠복기간을 거쳐 보통 감염 13~17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발열과 동시에 발진이 나타나는데,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 발진은 작은 홍반으로 시작하여 빠르게 부어올라 구진이 되고, 이후 3~4일간 팥 크기의 수포(물집) 기간을 거쳐 7~10일 내에 딱지를 남기고 호전됩니다. 수포는 노출 부위보다는 가려진 부위나 피부를 자극하는 곳에 생기기가 쉽습니다. 어린이보다 성인에게 발열과 전신 감염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합병증이 일어나는 비율도 높습니다.
tag

수두 치료•약물

대부분의 경우 임상 증상 관찰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감염 시 숙주 세포의 핵에는 핵내 봉입체라는 구조가 나타나는데요, 수포에서 핵내 봉입체를 가지는 다핵 거대세포를 검출하는 것으로 수두를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tag

수두 치료•약물

치료 대부분 진행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증상이 좋아지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항바이러스제 투여의 경우 모든 수두 환자에게 투여하기보다, 삼차신경의 제1분지가 이완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등 상황에 따라 사용하도록 제한해야 합니다. 면역억제 환자에게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만, 면역기능이 정상인 수두 환자에게는 증상 완화 효과가 없습니다.
tag

수두 합병증

수포를 긁으면 세균감염(화농)이 일어나며, 이외에도 수두폐렴·수두뇌염·급성 신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사망률이 더 높습니다. 주요 사망 원인은 성인의 경우 바이러스성 폐렴, 소아의 경우 이차적인 세균감염과 뇌염입니다. 백혈병 등의 혈액질환을 비롯하여 류머티즘열·교원병 등의 환자는 수두에 대해 사망률이 높은 고위험군에 속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임신 초기에 수두에 감염될 경우 약 2%의 태아에서 선천성 기형이 생기며, 산모가 분만 5일 전부터 분만 후 2일 사이에 수두에 걸릴 경우 신생아는 생후 5~10일 사이에 중증 수두에 걸릴 위험성이 있습니다.
tag

수두 예방

신생아나 면역억제 환자는 수두 환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12세까지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게 피하주사용 생백신을 사용합니다. 0.5mL의 투여로 3~6년 동안 70~90%의 방어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성인이 4~8주 간격으로 2회 투여하면 약 70%의 효과가 있습니다. 수두 예방접종은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으로 만 12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접종이 가능합니다. 특별한 식이요법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며, 수두 환자는 피부 병적인 증상의 첫 발현 후 5일간 혹은 수포가 마를때까지 격리되어야 합니다. 학교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며 병원에서도 중증 수두를 방지하기 위해 수두 환자의 철저한 격리가 이뤄져야 합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